본문 바로가기

음력 14년 4월 15일 보름 법회 - 금강경 5회 법문 4월 15일 (음) 보름 미타재일 법회 지난 초하루 법회에 이어 오늘은 입 사위대성 걸식 어기성중 차제걸이 환도본처 (사위대성에 들어가시어 성 안에서 차례대로 밥을 비셔 수행하시던 자리로 돌아 오시었다.) 영산당시 사위국 수도가 사위성 이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시내에서 멀지 않은 시외에서 제자들과 수행하셨었는데, 아침 사시전에 제자들을 거느리고 밥을 비시기에 방편상 시내와 멀지 않은 곳에서 수행 하셨던 것 입니다. 입 사위대성 성안으로 들어 가시는 상을 그리시라고 경전에 기록 하신 것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성안으로 들어가실 때는 일렬로 제자들과 들어가심은 제자들과 재가불자들께 질서정연, 걸음마다 시은을 감사하며 중생들의 업장소멸, 시주공덕, 광의적으로 법을 행하심 이었습니다. 수행의 솔선수범, 곧 법은.. 더보기
우리말 반야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때, 오온이 모두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괴로움과 재앙을 없앴느니라. 사리불이여, 물질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물질과 다르지 않으며, 물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니, 느낌과 생각과 지어감과 의식도 또한 그러하니라. 사리불이여, 이 모든 법의 공한 모양은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않고 줄지도 않느니라. 그러므로 공 가운데에 물질도 없고 느낌과 생각과 지어감과 의식도 없으며, 눈과 귀와 코와 혀와 몸과 뜻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없고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으며, 무명도 없고 또한 무명이 다함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없고 또한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으며,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괴로움의 없어짐과 괴로움을 없애는 .. 더보기
반야심경 ⊙신중단 쪽을 향해서 합장하고 스님과 신도와 함께 봉독한다. 신중은 부처님의 바른 법을 보호하고, 선한 일을 행하는 이에게 복을 주며, 삿된 인간이나 귀신을 물리쳐 바른 법을 옹호하기로 맹세했던 착한 신장(장수되는신) 을 모신 곳을 말하니, 항상 부처님 곁에 모셔놓고, 다음에 예경을 드린다.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 이무소득고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 고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