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력 5월 1일 (양력 5월 29일) 초하루 법회 음력 5월 1일 (양력 5월 29일) 초하루 법회가 연화사 큰법당에서 있을 예정입니다. 더보기
예불문(헌향진언) 헌 향 진 언 『옴 바아라 도비야 훔』×3 (다함께)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절) 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지장보살마하살(절)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 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절) 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선지식(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절)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제중생 자타일시성불도 (반배) 더보기
오분향례 저녁 예경은 ‘오분향례’ 및 ‘헌향진언(獻香眞言)’ 그리고 ‘예경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오분향례라 함은 오분법신(五分法身), 즉 부처님께 향(香)을 공양하고 예(禮)를 올리는 것을 말하며, 곧이어 향을 공양하는 진언, 즉 헌향진언이 이어지는 바, 이들 각각에 대한 예를 들어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계향(戒香), 2) 정향(定香), 3) 혜향(慧香), 4) 해탈향(解脫香), 5) 해탈지견향(解脫知見香), 6) 광명운대 주변법계(光明雲臺 周遍法界), 7) 공양시방 무량불법승(供養十方 無量佛法僧). 계(戒)를 지킴으로서 탐심(貪心)을 여의신 부처님께(우리도 그와 같이 되겠다는 마음으로 향을 피워 예배 올립니다.)/ 마음의 안정[定]으로서 진심(瞋心)을 여의신 부처님께(우리도 그와 같이 되겠다는 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