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력 14년 3월 15일 보름 법회 - 금강경 3회 법문 3월 보름법회 (4월 14일) 금강경 세번째 법문 불,보살님 가피 아래 소중한 인연 금일 보름법회 증명해주시는 소중한 불자님들께 지성감사 드리며,법회를 시작하겠습니다. 시작이 끝이고 끝이 시작 입니다만 실상 법문이란 허울로써 언어유희를 하는 것 입니다만 방편상 언어, 문자를 빌리고져 합니다. 지난 시간, 초하루 법회 시 법문 해드리지 못한 과 이어서 를 법문 하겠습니다. 재사위국(사위국에 계실 때) 사위국은 가비라국 옆에 있던 나라이름입니다. 기수급고독원 당시 사위국의 기타태자께서 사방 50리쯤 되는 아름답고 장엄한 정원을 가지고 계셨는데 특히 아름다운 나무가 많아 기수태자라 하였습니다. 또한 고독원이란 장자(지금으로 말씀 드리자면 재벌)가 계셨는데 부처님을 만나 불법을 듣고 그 거룩함에 "만일 부처님이.. 더보기
최영장군 묘 저희 연화사 가 위치한 곳에서 15분정도 들어가시면 있는 최영장군의 묘입니다.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라는 말이 다시금 생각 납니다. 매년 봄과 가을에 최영 장군의 위령굿이 필리핀 참전비에서 펼쳐 지고 있습니다. 풀이 나지 않는 무덤의 주인공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이는 최영이 남긴 말로 유명하다. 원래 이 말은 최영의 아버지 최원직이 최영이 16세 경에 죽으면서 남긴 유언이었다고 한다. 원래 성품이 강직하고 올곧았던 최영은 아버지의 말을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아 이 글귀를 써서 곁에 두고 항상 되새겼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그는 고위관직에 있을 때도 별다른 청탁이나 뇌물 사건에 휩쓸리지 않았다. 외적을 막고 고려왕실을 보호하며 청렴하기까지 했던 최영은 그래서 온 나라의 백성으로부터 매우 존경을.. 더보기
불공의식, 육법공양 에 관한 이야기 불공의식, 육법공양 ※ 불교의식은 귀의, 예경, 찬탄, 참회, 염불, 발원, 수행의 과정을 포함. ※ 육법공양 ① 향 (해탈) ② 초 (지혜) ③ 차 (마음근심을 멸함) ④ 꽃 (정진) ⑤ 과일 (보리 : 해탈의 결과) ⑥ 음식 (희열) 불자님들의 향, 초, 미 공양시주는 연화사 사부대중 공양의 밭입니다. 정성스러운 공양구(향, 초, 미)를 불전에 올리심에 신심을 다하여 주셔서 감사 드리며, 불자님들의 정성이 헛되이 되지 않도록 연화사 사부대중은 정진 수행을 약속드립니다. 부디, 공양 올리시는 정성이 장엄하시도록 향, 초, 미 가격에 대한 의구심을 일으키시지 않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최대의 정성으로 공양구 올리시길 발원 드립니다. 2014. 주지 혜초 이혜명 합장. 더보기